James the Draftsman

The first draft of anything is shit...but I still have written that shit.

일상 끄적이기

방구석 철학자의 방 - "사랑"

p5kk1492 2025. 4. 17. 20:50
728x90
반응형

사랑에 관한 철학자의 대표적인 아포리즘 5가지

(Five Notable Aphorisms on Love from Philosophers)
1. “사랑하는 것은 사랑받는 것보다 더 행복하다.”
“To love is to be happier than to be loved.”
—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
 
사랑을 받는 것 보다 주는 것이 더 큰 기쁨이란 점에 대해 동의한다. 전제를 두자면, 사랑을 받아봤던 사람일 수록 주는 기쁨을 더 잘 안다. 고기도 먹어본 놈이 안다고,

사랑은 받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에서 행복이 비롯된다는 관점. 사랑의 본질이 타인에게 무언가를 주는 데 있음을 강조.
(This perspective highlights that love derives happiness not from being loved but from giving. It emphasizes that the essence of love lies in giving to others.)
 
ㄴ 사랑받는 사람에게 사랑을 주는게 행복한것이라 본다. 나를 사랑해주지 않는 사람에게 사랑하는 것은 어쩌면 비극일지도.
 
 
2.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는 것을 알지 못하고, 우리가 아는 것을 사랑하지 않는다.”
“We do not know what we love, and we do not love what we know.”
— 블레즈 파스칼 (Blaise Pascal)

익숙한 것에 대해서는 사랑이란 감정을 상실하고, 또한 우리가 사랑하는 것에 대해서도 알지못한다. 알면 사랑에서 멀어지고, 사랑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 헤매는 우리네 삶을 정리해주고 있는 어포리즘이다.

사랑과 지식의 역설적인 관계를 보여주는 통찰. 인간은 종종 사랑을 정의할 수 없으며, 알게 되면 그 사랑의 본질이 변하기도 함.
(This insight reveals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love and knowledge. Humans often struggle to define love, and once they think they understand it, its essence may change.)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는 것은 알지못하고, 알고 있는 것은 사랑하지 않는다. 
 
 
3. “진정한 사랑은 희생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것은 단순히 나누어지는 것이다.”
“True love does not demand sacrifice; it is simply shared.”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Antoine de Saint-Exupéry)

나 혹은 상대의 희생으로 이어져가는 사랑은 결국 끝이 난다, 서로 나눔의 정서가 둘의 관계를 면면히 이어나갈 수 있다.

사랑은 일방적인 희생이 아니라 서로 자연스럽게 나누어지는 것임을 강조.
(This emphasizes that love is not about unilateral sacrifice but about mutual sharing that happens naturally.)


4. “사랑은 두 사람이 마주 보는 것이 아니라,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다.”
“Love does not consist in gazing at each other, but in looking outward together in the same direction.”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Antoine de Saint-Exupéry)

마주보는 것은 일종의 연애감정, 같은 곳을 함께 바라보는 것은 인생의 반려자로서의 사랑을 의미하지 않을 까 싶다. 마주보는 사랑은 열정적이고, 주변의 상황과 관게없이 둘만의 감정이 중요하다. 그래서 마주보기 싫어지는 상황이 되면 그렇게 관계는 정리된다. 반면, 같은 곳을 바라보고 향해 나아간다는 것은 연대다. 둘은 같은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며, 미래를 그려나가는 발전적 관계이다. 서로 이해하고 양보하고 배려할 줄 아는 상호존중의 관게로 나아갈 수 있다.


사랑이란 단순히 서로를 응시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목표와 가치를 공유하며 나아가는 것임을 의미.
(This means that love is not just about gazing at each other but about moving forward together with shared goals and values.)

5. “사랑은 욕망이 아니라 자유로운 헌신이다.”
“Love is not desire but free devotion.”
— 시몬 베유 (Simone Weil)

욕망으로 엮이는 사랑도 있다. 허나 욕망으로 시작했던 사랑도, 자유로운 헌신을 바탕으로 한 사랑으로 발전한다. 그때부터가 사랑의 시작이라 볼 수 있다,


사랑을 단순한 욕망이 아니라, 타인을 향한 자유로운 헌신으로 바라보는 관점.
(This perspective sees love not as mere desire but as a free and selfless devotion to another.)
 


사랑에 관한 철학적 사유를 위한 질문 3가지

(Three Philosophical Questions for Reflection on Love)
1. 사랑은 감정인가, 선택인가?
Is love an emotion, or is it a choice?

감정이 선행되어야, 선택의 여지가 있지 않을까? 허나 반례로 먼저 선택이 된 이후에 서로 사랑의 감정이 생겨나는 경우도 꽤 많다.

Arraged Marriage 가 연애결혼보다 보편적인 사회가 된 것도 길지 않다. 물론 그 중에도 감정에 이끌려 연애와 결혼이 이뤄졌지만, 나는 감정이 선행되는 것이 좀더 본성에 어울린다 생각한다.

• 사랑은 순간적으로 느끼는 감정인가, 아니면 의지로 지속적으로 선택하는 행위인가?
(Is love something we feel in the moment, or is it an act of continuous choice and commitment?)

2. 사랑은 본질적으로 이타적인가, 아니면 이기적인가?
Is love inherently altruistic, or is it selfish?

원초적으로 남녀간의 연애는 서로의 이기심의 발로라 생각이 든다. 상대를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이 연애안에 포함된다. 대상을 성적으로 혹은 인간적으로 서로 특별한 존재임을 느끼게 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

허나 성숙한 사랑은 이타적이다. 타자에게 느끼던 소유욕에서, 상대방으 세계관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것이다. 상대방만을 사랑하는 것에서, 그 사람을 둘러싼 환경이나 그 얽힌 것들을 이해하고 포용하게 된다.

결국 사랑은 이기적 이타심의 자기표현이다. 처음에는 상대방의 사랑을 얻고 나만의 특별한 대상이 되길 바란다. 그 후에는 상대방의 세계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단계가 작동한다. 그렇게 나는 사랑을 통해 또 다른 나를 만나게 된다.

• 사랑은 타인을 위한 헌신인가, 아니면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려는 행위인가?
(Is love about selfless devotion to another, or is it a way to fulfill our own desires?)

3. 모든 사랑은 언젠가 변하는가, 아니면 영원한 사랑이 존재할 수 있는가?
Does all love inevitably change, or can love be eternal?

절대자에 대한 사랑도 바뀐다. 영원한 것은 인간이 만들어낸 것 중에는 없다. 사랑이란 본질안에 변화가 있다. 어쩌면 변한다는 속성 자체가 영원히 수용해야할 사랑의 본질 아닐까.

• 시간이 지나면서 사랑은 본질적으로 변하는 것인가, 아니면 변하지 않는 사랑이 존재할 수 있는가?
(Is love something that naturally changes over time, or can a form of love remain unchanged forever?)
 


라틴어 격언 (Latin Maxim on Love)

“Amor vincit omnia.”
“Love conquers all.”
— 베르길리우스 (Virgil)

사랑은 모든 것을 이긴다는 의미로, 사랑의 힘과 그 궁극적인 승리를 강조하는 문장.
(This phrase highlights the power of love and its ultimate triumph over all obstacle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