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es the Draftsman

The first draft of anything is shit...but I still have written that shit.

728x90
반응형

책 그리고 흔적 653

짧은 소감, 내가 천 개의 인생에서 배운 것들, 김도윤

나는 저자 김도윤이 김작가란 유튜버란 사실을 듣고 처음에 어떤 에세이일까 궁금했다. 자기가 인터뷰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엮는 에세이 인줄 알았는데 다 읽고 나서 조금 충격이었다. 나는 김작가의 유튜브를 가끔 알고리즘에 따라 몇개 영상을 본게 전부다. 그영상의 대부분은 성공한 혹은 저명한 인물이 자신의 책을 바탕으로 인터뷰하는 형식의 컨텐츠였다. 그래서 자기계발 관련 유명 유튜버의 에세이가 내가 볼만할까 했는데, 놀라웠다. 일단 서두에 돈이나 명예보다 중요한 가치는 관계라고 하면서 시작하길래, 이번엔 인관관계에 대해서 사연파는 에세이라고 예상했다. 그런데, 그냥 김도윤 저자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였다. 그냥 이야기가 아닌, 그가 마치 한자한자 꾹꾹 눌러 쓴 절절한 사연이 담긴 가족그리고 그의 이야기였다. ..

짧은 소감 이반 일리치의 죽음 톨스토이

내가 이 책을 왜 읽었을까, 2013년에 덜컥 지른 열린책들 오픈파트너스 떄문이다. 나는 책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특히 고전 소설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냥 소설도 어려운데, 고전 소설은 더 어려워 말이다. 어쩔 수 없지 않은가 200권이나 생겨버린 내 전자책을 소화해 내야지.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말그대로 죽음에 대한 치열하고 고통스러운 이야기다. 주인공인 이반은 평범하게 승승장구하며 살던 인물이다. 판사의 자리에서 적당한 출세욕과 넉넉한 수입, 그리고 그 조건에 맞은 부인의 자녀까지 갖춘 인물이다. 큰 고민없이 유유자적 자신의 삶을 살던 그가 결국 시한부 선고를 받는다. 물론 처음엔 애매모호한 의사의 진단에서 시작하다 결국 죽게 될 것을 알게된다. 이반은 자신이 죽을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시점부..

짧은 소감 우아한 거짓말 김려령

우아한 거짓말은 영화화된 소설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사실 넷플릭스 구독자여서 트렁크라는 드라마가 공개 예정임을 보았고, 해당 드라마도 김려령 작가의 소설이 원작임을 확인했다.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 트렁크 까지 영화화 된 작품을 가진 김려령의 소설은 어떨까 하는 궁금증이 일었다. 우아한 거짓말은 중학교1학년 이천지양의 죽음, 스스로 선택한 비극으로 인해 발생한 사건을 토대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소설 내용도 전체적으로 좋았다. 물흐르듯이 소설이 읽히는 경험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보통 내가 소설을 접할때는 등장인물을 까먹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데 애쓰기 바빴다. 나같이 좀 모자란 독자는 소설의 이야기 흐름이나 등장인물의 숫자 등에 따라 소설에 대한 이해력의 변화가 심하다, 아니 ..

수레바퀴 아래서 헤르만 헤세 짧은 소감

주인공 한스 기벤라트가 신학교의 입학하여 겪게되는 여러 사건들을 통해 풀어내는 헤세의 자전적 소설을 읽어봤다. 읽기전에 헤르만 헤세가 신학교 입학하였다 진학을 포기하고 자살기고, 정신요양원 입원 이후 김나지움 적응도 좌절된 삶이 반영되었다는 설명을 보고 읽었다. 어느정도 소설이 흘러갈 방향을 예상하고 읽은 부분이 있었다. 한스는 가족과 주변의 기대를 받고 신학교에 입학했지만, 그 이후의 상황은 좋지 않았다. 너무나도 순수해도 문제였던 한스는 주변의 기대에 맞게 모범적으로 살았다. 그러다 자유로운 하일너와 우정을 쌓았고, 그와의 관계가 깊어지면서 그는 모범생도 반항아도 아닌 그냥 그저그런 학생이 되버렸다. 하일너는 스스로 퇴학을 당할 행동으로 자유로운 영혼의 인간임을 증명했고, 한스는 그저그런 학생인데다가..

짧은 소감 나는 당신이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안경희 저

안경희 정신과 의사의 자기고백과 함께 많은 이에게 위로를 주는 에세이, 나는 당신이 살았으면 좋겠습니다를 읽어봤다. 저자는 정신과 전문의 준비중에 양극성장애임을 알게 되었고, 이후 좌절과 치료과정을 통해 겪은 이야기를 책으로 엮었다.  저자가 정신과 전문의라는 진로를 택하면서 겪은 일련의 과정, 그리고 거기서 알게된 자신의 병인 조울병에 대한 서술이 상세하게 적혀있다. 자신이 조울병 환자라는 진단, 그리고 이에 대해 받아들이면서 나아가는 이야기를 보며 용기 있다 느꼈다. 정신과 전문의인데 정신과 환자이기도 한 이 상황을 같은 동료 혹은 환자들이 이해를 할까. 어쩌면 자신이 꿈꿨던 정신과 전문의 타이틀을 걸었을런지도 모른다. 어쩌면 솔직함으로 인해 더 위로와 격려를 받고 있긴 하지만, 그것은 결과론적이지 ..

소설 화이트타이거, 영화를 본뒤 다시 읽은 소감

이 책을 구매하고 세번을 읽었다. 개인적으로 대충읽는 스타일이기에 디테일하게 읽은 것은 아니다. 3회차 독서에서는 잡지넘기듯이 읽었다 영화를 보고 다시 소설을 읽고, 다시 영화를 보고 마지막으로 소설을 보는 과정에서 무엇을 느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오늘 같은 경우에는 이 책에 대해 소개를 해야하는 상황이 있어서 좀더 여러번 보게되었다. 솔직히 책 자체가 나쁘지 않지만, 영화가 워낙 좋아서 영화에 대한 내 호감도가 낮아지진 않는다. 소설만 놓고 봐도 물론 개인적으로 맘에 든다. 주인공인 발람을 위주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그의 심리가 드러나고 변화하고 극적이게 되어가는 과정 결만 부분의 자신의 행위에 대한 당위성등을 풀어나가는 점이 위선적이지 않아 좋았다.  발람이 처한 인도사회가 부조리하다고 발람의 행위..

영화 화이트 타이거, 소설을 읽은 뒤 감상

과거의 인도에는 천 개의 카스트와 천 개의 숙명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딱 두 개의 카스트만 남았다. 배때기가 커다란 남자들, 그리고 배때기라곤 없는 남자들. 그리고 숙명 또한 딱 두 가지 뿐이다. 먹거나, 먹히거나 영화와 소설에서 등장하는 구절, 그리고 이 작품을 관통하는 주제이기도 하다. 소설과 영화는 같은 주제의식으로 같은 전개로 뻗어나가지만, 개인적으로 영화가 좋다. 이유는 내가 게으른 독자기 때문이다. 일단 편들지 못한 소설의 장점부터 말하자면, 일단 유명한 상을 받은 작품이다. 물론 좋은 상을 받아서 작품이 훌륭하다 말하기엔 너무 얄팍하긴 하지만, 왠지 상을 받을만한 매력이 있어 보인다. 일단 어렵지 않아서 좋았다. 개인적으로 나같이 게으른 독자는 등장인물이 다양하고 복잡한 서사로 이야기가 ..

인도의 어두운 민낯, 화이트 타이거 아라빈드 아디가

개인적으로 인도의 사건 사고에 대한 기사를 주의깊게 찾아본다. 여전히 남아있는 카스트, 자본주의가 심화되면서 더 부조리하게 나타나는 카스트의 병폐들, 그리고 다우리, 주방에 타죽은 여인과 처벌되지 않는 남편과 가족들, 다시 다우리 지참금을 받고 재혼하는 남편 집단 구타 및 살해사건 등 말이다. 나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화이트 타이거를 통해 먼저 영화를 통해 작품을 접했다. 무너진 카스트제도에 덧붙여진 새로운 계급질서와 빈부격차가 그려내는 어두운 인도의 민낯을 잘 그려낸 작품이다. 영화를 추천받아 보고, 기존 발리우드 인도영화처럼 어이없는 영화 흐름과는 달리 시종일관 어둡게 이야기를 끌어가는 점이 좋았다. 기분좋게 이야기를 끌고 가는 작품은 아니고, 당연 결말도 어두운 느낌을 끝까지 끌고 나간다. 영화가 좋..

서부전선 이상없다, 레마르크 저

예전에 대학에서 수업을 듣다가 서부전선 이상없다란 책에 대해 들은 적이 있다. 당시 교수의 설명과 내가 읽은 책에 대한 묘사는 상당히 다르긴 하다. 당시 교수는 서부전선 이상없다란 책을 통해 당시 1차대전 프랑스와 독일의 대치상태가 지리할 정도로 지속되었음을 설명하기 위해 책을 동원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위와 같은 전시상황을 위한 책이 아니다. 젊은 청년들이 전장에 휘몰려 목숨을 잃어가는 참상을 그려낸 소설이다. 나는 사실 소설을 읽는데 잼병이다 등장인물들을 정확히 기억하는 것도 어려워한다. 그래서 이번에도 인물들을 굳이 기억하려 애쓰지 않았다. 다행히 이 책은 주인공인 파울이란 인물을 중심으로 사건과 상황을 묘사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점은 그나마 다행이다. 주인공과 주변 전우들은 여느 청년들..

우리가 메뉴를 통일하는 진짜 이유 Solomon Eliot Asch, 1907~1996

솔로몬 애쉬가 말하는 동조효과 에 관한 어록들이다. 사실 전체적인 내용에는 마음에 썩 드는 구절은 없었다. 내 주제에 골라먹는 아이스크림마냥 어록을 평하는게 우습긴하다. 그런데 중간에 짧은 어록들이 솔로몬의 어록을 그냥 외면할 수 없었다. 짧지만 강한 어록을 골라보고자 한다. 323 Are we autonomous beings? 338 Can free will of human be cosidered a reasonable consept? 이 두 어록을 위해 이 글을 남긴다. 우리는 자율적인 존재인지, 우리가 가진 자유의지란게 정말 있을까? 솔로몬은 동조효과를 연구하면서 남긴 의문부호지만, 나는 좀 다르다. 종교인에게는 그저 하늘이 내린 뜻에 따라 인간이 선과 악을 정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과학자의 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