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es the Draftsman

The first draft of anything is shit...but I still have written that shit.

일상 끄적이기

2025-01-31 오늘의 구절

p5kk1492 2025. 1. 31. 04:19
728x90
반응형

 

사실 이 구절만 보면 여전히 유대인이 구원의 제1대상인 부분이 표현되어 있어서 아리송하다. 당대에는 유대인만이 약속받은 특별한 민족이이란 정서가 지역종교로 자리했던 세계관이 아니었나 싶다. Gentile 을 헬라인이라고 번역한 한글성경도 마찬가지로, 당대의 세계관에서 헬라인까지가 일종의 코스모폴리탄 혹은 세계시민의 상징성을 띈 표현이라고 해석해야 아구가 맞다. Gentile은 유대인이 아닌 타민족을 포괄하는 어휘이긴 하나, 히브리어 성경이나 그리스 혹은 라틴성경에서의 어휘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아래는 원어 단어들의 한글 발음과 의미를 정리한 표입니다.

언어원어한글 발음의미

히브리어 גּוֹי 고이 (Goy) 민족, 이방인 (이스라엘 외의 모든 사람들)
히브리어 גּוֹיִם 고임 (Goyim) 여러 민족, 여러 이방인들 (복수형)
히브리어 נָכְרִי 노크리 (Nokhri) 외국인, 낯선 사람 (더 좁은 개념)
그리스어 Ἕλλην 헬렌 (Hellēn) 그리스인, 신약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방인 전체를 의미
그리스어 ἔθνος 에트노스 (Ethnos) 민족, 이방인 (집단적인 개념)
라틴어 Graecus 그라이쿠스 (Graecus) 그리스인, 그러나 문맥상 이방인을 뜻함
라틴어 Gentes 겐테스 (Gentes) 민족들, 이방인들 (그리스어 ἔθνη의 번역)

특히 로마서 1:16에서 등장하는 Ἕλλην (Hellēn, 헬렌) 은 문자적으로는 “그리스인”이지만, 신약에서는 유대인이 아닌 모든 이방인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 궁금한 점 있으면 질문 주세요! 😊

 

챗지피티에 물어보니 내 추측대로 설명을 하고 있다. 세계관이 확장됨에 따라 여전히 Gentile 을 헬라인으로 직역하는데, 여타 이방인이라고 번역하면 초월변역이 되는걸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