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학문은 고생하며 탐구하는 자에게 많은 만족을 주고, 그 성과를 '배우는' 자에게는 아주 적은 만족밖에 주지 않는다. 그러나 차츰 학문의 모든 중요한 진리는 평범,비속해지지 않을 수 없으므로, 조금밖에 없는 만족도 없어지고 만다. 고급문화는 인간에게 먼저 학문을 느끼고 다음에 비학문을 느낄 수 있는 이중의 두뇌, 이른바 두가지 뇌실을 주어야 한다. 내 생각학문을 탐구하는 즐거움이 점점 줄어들 즈음에, 비학문을 통해 만족을 얻을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그래서 학문의 만족과 비학문에서의 즐거움을 느끼는 두가지 방향성을 지녀야 한다. 해석을 본 뒤니체는 인간에게 학문과 비학문을 모두 느낄 수 있는 두뇌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학문은 이성적인 사고와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