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es the Draftsman

The first draft of anything is shit...but I still have written that shit.

728x90
반응형

일상 끄적이기 609

전화벨이라도 울리면, 덜덜덜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0180386&code=61121111&cp=nv “벨 울리면 불안해” 국적·세대 불문 ‘콜 포비아’ 확산전화가 오면 불안감에 가슴이 두근거리는 일명 ‘콜 포비아’(전화공포증)를 겪는 사람이 세계적으로 늘고 있다.월스트리트저널(WSJ)는 최근 ‘휴대전화로 전화www.kmib.co.kr 콜 포비아, 음성통화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증상이 세대를 불문하고 확산된 다는 내용의 기사를 가져왔다.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나온 기사내용을 국민일보에서 확인했으며, 전화받는걸 두려워하는게 젊은 세대만의 증상이 아닌점이 포인트다.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세대를 불문하고 통화량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다고 한다. 사실 기사내용이 아니더라도, ..

일상 끄적이기 2024.06.08

장애인의 생활권, 모두에게 나은 사회

“휠체어석 예매 40분 대기, 위치도 못 골라”···장애인 공연 접근권 ‘문턱’ - 경향신문 (khan.co.kr) “휠체어석 예매 40분 대기, 위치도 못 골라”···장애인 공연 접근권 ‘문턱’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A씨(29)는 얼마 전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오전 9시에 맞춰 온라인쇼핑몰 ‘인터파크’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었다. 한 아이돌그룹의 팬 콘서트 휠체어석을...m.khan.co.kr 내가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나 이해가 넓어진 계기는 공익근무 덕분이다. 시력으로 얻은 공익판정으로 나는 남들처럼 시청이나 편한 근무지를 노렸지만, 집에서 멀리 외곽에 있던 장애아동 어린이집으로 출퇴근했다. 공익주제에 더 편한 자리를 노렸다. 하지만 내가 일했던 근무지도 현역복무 군인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편했다..

일상 끄적이기 2024.06.08

전화기들면 여포가 되는 고객들

https://www.hani.co.kr/arti/society/labor/1143644.html 콜센터에선…“고객 성희롱 3번 버텨야 끊을 수 있어”고객의 폭언 등으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감정노동자 보호법’(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이 시행된 지 6년째에 접어들고 있지만, 콜센터 노동자들이 악성민원에 시달리는 등 현장에서www.hani.co.kr 감정노동자보호법이 시행 6년차를 맞이하고 있다는 내용, 그리고 취지에 무색한 현실을 다룬 한겨례 기사다. 여느 고객센터 상담전화를 걸어도 나오는 해당 법에 대한 내용, 그런데 누가 그걸 들을까 싶다. 어짜피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여포가 되는 사람들은 상담사가 전화받을 때까지 기다릴 뿐이다. 그다음 더러운 말과 폭언을 장전해둔 방아쇠를 아가리로 당긴다. 개..

일상 끄적이기 2024.06.08

포로를 대하는 러시아의 자세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0177406 “앙상한 몸, 나치 떠올라”… 우크라 포로의 ‘처참한 몰골’전쟁 중 러시아에 포로로 붙잡힌 우크라이나 남성이 앙상한 모습으로 2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5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전쟁포로 처우 조정www.kmib.co.kr CNN기사를 인용해서 최근 러시아에서 풀어준 우크라이나 포로에 상태에 관한 내용을 다룬 국민일보 기사를 참고해 작성한다. 사진과 헤드라인으로 '앙상한 몸, 나치 떠올라'라는 문구로 사람들에게 포인트를 잡고 있는데, 맞긴 하다. 나치가 포로를 다루던 수준보다는 비교하면 낫지만, 러시아의 전쟁범죄는 확실히 뒤가 없는 듯 하다.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나라에서 찾을 수 있는..

일상 끄적이기 2024.06.08

사람을 잃지 않으려면

나는 일단 친구가 없다. 방구석에서 글과 유튜브 라디오를 업로드 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인간관계 자체가 거의 사막수준인데, 그나마 고향친구 서너명 정도가 남아있다. 돌이켜 보면 내 옆에 사람들을 계속 남아있게 하는 것도 재주고 능력이란 생각이 든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인연을 유지하게 하는 동력은 어떤게 있을까? 그냥 내 경험이나 생각을 풀어내면서 한번 글을 남겨보고자 한다. 일단 사람과의 인연은 가족을 빼면 처음은 친구, 그리고 연인, 직장이나 모임에서의 인연 정도가 있다고 보겠다. 보통은 또래라는 이유로 맺어지는 친구관계가 처음 인연의 시작이지 싶다. 같은 학교, 같은 동네, 같은 나이라는 공통점으로 친구가 되어 인연을 이어나간다. 너무나 단순한 공통분포지만, 제일 오래가고, 지금도 유지되는 사..

일상 끄적이기 2024.06.07

2024-06-07 오늘의 구절

Verse of the dayIn peace I will lie down and sleep, for you alone, Lord, make me dwell in safety.Psalms 4:8 NIV Honor GodHe is the Rocks, hiis works are perfect, and all his ways are just. A fatihful God who does no wrong, upright and just is he.Deuteronomy 32:4NIV My ConcernsFor no word from God will ever fail."Luke 1:37 NIV 종교를 갖게 되면 이전보다 정서적으로 안정감이 올라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요즘에야 신을 믿는 자유가 있는 세상이지만, 신에..

일상 끄적이기 2024.06.07

존 오브 인터레스트, 악의 평범성을 영화화하다

사실 거의 졸면서 봤다고 고백한다. 양심상 영화를 제대로 이해했다고 할 수 없지만, 그냥 뇌피셜로 감독의 연출의도를 나름 정의했다. 이 영화를 보면서 한나아렌트의 '악의평범성'이란 문구를 떠올렸다. 떠올렸는데, 엄청나게 지루하게 연출하다보니 난 잠들었다. The banality of evil 이 평범성이란 번역에 의문을 갖는 경우도 있다. 이부분은 논외로 하고, 에서 나치 전범자들이 자신들의 전쟁범죄를 그저 명령에 대한 의무를 수행했음을 변명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받은 한나 아렌트가 내린 결론이 핵심이다. 이 영화의 주제의식이 아닐까 싶다. 이야기는 아우슈비츠 수용소 옆에서 살고 있는 소장 루돌프 회스의 가족들 모습을 그리면서 진행이 된다. 굉장히 긴 시간을 나치 가족들의 화목한 모습을 연출하는데 할애한다..

일상 끄적이기 2024.06.06

프로와 아마의 차이는 디테일에 있다.

The devil is in the details,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는 경구에는  사소해 보이는 차이에는 어마어마한 치밀함과 노력이 숨겨져 있단 의미가 담겨있다. 승자독식사회라는 책에도 최상위와 그 바로 단계의 압도적 수익의 차이에도 아주 사소한 디테일이 결정짓는 다는 내용이 사례를 통해 다뤄지기도 한다. 디테일, 그 죽일놈의 디테일이 내삶의 위치를 결정짓는다. 나는 인생이 너무 대충이다. 학창시절에 공부부터가 그렇다. 어쨋든 인서울권 성적을 성취했지만, 디테일을 따직고 보면 절대 그 다음단계의 상위 성적을 낼 수 없는 수준이었다. 남들에게는 오 그렇게 어릴때 공부 잘했네, 소리를 들을 수 있었겠지만 본인이 디테일이 떨어지기 때문에 간신히 입학성적만 달성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최저임금의 아르..

일상 끄적이기 2024.06.06

도박을 선행학습 한 청소년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075 열다섯 살 아이 휴대폰에서 열리는 ‘손안의 카지노’ - 시사IN도박으로는 돈을 벌 수 없다. 열다섯 살 지후(가명)는 이미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아는 형을 따라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온라인 도박을 시작한 지후는 지난 4년 동안 몇천 만원 단위로 돈을 따www.sisain.co.kr 해당 기사는 도박 치유캠프에 모인 청소년에 대한 이야기 및 현 청소년 도박중독 실태를 다루고 있다. 현재 청소년에게 가장 유혹으로 다가오는 중독은 도박으로 보인다. 술이나 담배는 중독이 되기에는 이르고, 알콜중독단계까지 빠지려면 시간도 걸리고 담배는 중독이 되면 건강상 유해한 정도다. 마약의 경우 간혹 있겠으나, 쉽게..

일상 끄적이기 2024.06.06
728x90
반응형